생활스포츠지도사2급 스포츠윤리 - 3. 스포츠와 불평등
< 성차별 >
Title X(nine) : 1972년 미국에서 통과된 법으로 학교 내에서 성차별을 금지하는 법 조항이 포함되어 있음
역사적 사실 :
- 고대 올림픽에서는 여성 참자 및 관람을 비허용
- 근대올림픽의 창시자 쿠베르탱도 여성의 올림픽 참여를 반대함
- 2012 런던 올림픽에서 비로소 모든 종목에서 여성이 참여
- 현대에는 오히려 여성만 참가할 수 있는 경기 종목이 존재
성차별원인 :
- 성역할의 고착화 (스포츠의 내재된 공격성, 경쟁적 요인이 여성에게 적합하지 않다)
- 신체 조건의 편견 (여성의 신체는 생리적으로 스포츠활동에 부적합하다)
- 여성성의 대립성 (스포츠에 참여하는 여성은 여성적이지 못하고 매력적이지 못하다)
성평등방안 : 적극적 홍보, 성차별에 대한 공론화, 지도자 프로그램 시설 확충
성폭력예방 : 파해사실 기록, 상황에서 이탈, 신곡자 보호, 모든 구성원의 성폭력 예방 교육 참여
생물학적 한원주의 : 남성은 여성에 비해 선천적으로 우월한 신체를 갖고 태어나 스포츠에서의 남녀차별은 불가피하다는 이론, 인간의 행동과 사회를 "오로지 생물학적 요인의 결과로만 보려하는 것"
< 장애차별 >
스포츠 조건 : 원하는 장소와 시간, 참여종목을 스스로 선택, 활동장비기구 지원, 타인과의 사회성 함양
인권향상방안 : 지속적인 예방교육, 안정적 지원, 시설확충 및 설계
장애인 자별 금지 4가지 : 제한, 배제, 분리, 거부
생활스포츠지도사2급 스포츠윤리 - 4. 스포츠에서 환경과 동물윤리
< 스포츠와 환경윤리 >
환경 윤리학 | |
인간중심 (인간만 본질 그 외엔 도구적 - 프로타고라스, 토머스아퀴나스, 베이컨, 데카르트, 칸트) |
자연중심 (인간은 만물 중 하나일 뿐 - 슈바이처, 한스 요나스, 네스, 레오폴드, 폴 테일러) |
- 페스모어 : 자연이 소중한 것은 인간이 자연을 사랑하고 아름답다고 느끼기 때문임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기본의 여러 윤리 규범을 잘 준수 해야 함 - 베르크 : 지구의 생태계는 인간의 터로 존재할 때 의미와 가치가 있음 즉 인간의 터는 아름답고 살기 좋아야 하기에 인간은 이를 보전할 책임이 있음 |
- 슈바이처 : 생명을 해치지 않아야 하며 인간은 생명 전체의 확장된 책임이 있음 - 테일러 : 모든 생명체는 고유한 가치를 가지며 인간은 4가지 의무가 있음 * 4가지 행위 규칙(생태윤리) : 비상해, 불간섭, 신뢰, 보상적 정의 - 레오폴드 : 인간은 대지 위의 하나의 구성원으로 생태계의 오랜 균형을 지키고 안정성을 지킴 - 네스 : 지구 전체의 생태계가 나의 영역, 자연과 모든 생명체는 상호 연결된 구성원 |
부올제의 환경분류 | ||
순수환경 | 개발환경(실외) | 시설환경(실내) |
자연 그대로의 스포츠 환경 (등산, 요트, 서핑) |
자연에 일정한 변형을 가한 환경 (골프, 스키, 야구) |
자연과 분리된 완전한 실내 공관 (체육관, 수영장, 빙상) |
생활스포츠지도사2급 스포츠윤리 - 5. 스포츠와 폭력
< 스포츠 폭력 >
스포츠 폭력 부분은 거의 매년 출제되고 있는 부분이니 꼭 암기하도록 하자
철학자의 이름을 자신의 암기방법으로 외우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되겠다
자기 본능적 행위 | 플라톤 | 국가론, 공격성은 본능적 기질, 교육으로 제어, "용기" | |
아리스토텔레스 | 분노는 욕망에 앞서 나타나는 성질 | ||
로렌츠 | 동물과 인간은 모두 공격적 유전적 기질 및 공격적 성격을 소유 | ||
사회적 관행이나 문화 | 마르크스 | 폭력은 국가의 통치수단, 폭력이 없는 세상을 위한 폭력만 지지 - 개혁 | |
엘리스 | 폭력 형태가 스포츠로 감, 폭력을 통제하고 즐기며 이겨냄 - UFC | ||
더닝 | 폭력 근절 시도는 폭력을 감소시키나 통제불가능한 폭력은 증가 |
폭력을 성찰하는 방법 | |
아리스토텔레스 | 폭력이 폭력을 부르는 문제, 분노조절의 문제 -> 폭력은 인간 내면의 "분노"의 감정 |
푸코 | 전통적 위계질서의 구조 속에서 자연스러움을 가장한 권력이 폭력을 생산함 -> "규율과 권력" : 규율을 근간으로 하는 권력 |
한나 아렌트 | 사유하지 않는 것이 악의 근본(무사유), 잘못된 관행이 습관처럼 행해지는 문제 -> "악의 평범성" : 어느 사회에서 누구나 악을 행하는 상태 |
홉스 | 인간은 누구나 자신을 보호하려는 본성을 가짐 -> 자신 이외 다른 사람은 "잠재적 위험" |
지라르 | 폭력의 원인은 공격 본능이나 자연상태가 아닌 모방적 경쟁 관계 -> 심각한 갈등을 불러 오는 모방 욕구 "모방적 경쟁" |
'생활스포츠지도사 2급 - 필기시험 독학으로 합격하기! > [스포츠 윤리] 빈출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스포츠지도사 2급 - 스포츠 윤리(6. 경기력 향상과 공정성, 7. 스포츠와 인권, 8. 스포츠 조직과 윤리) (0) | 2023.05.30 |
---|---|
생활스포츠지도사 2급 - 스포츠 윤리(2. 경쟁과 페어플레이) (0) | 2023.05.26 |
생활스포츠지도사 2급 - 스포츠 윤리(1. 스포츠와 윤리 -2) (0) | 2023.05.24 |
생활스포츠지도사 2급 - 스포츠 윤리(1. 스포츠와 윤리 -1) (0) | 2023.05.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