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스포츠지도사 2급 필기시험을 치루는 많은 응시자들이 스포츠사회학 과목을 많이 선택하여 응시할 것이다
문제를 풀어보면 상식선에서 풀리는 문제들이 많고, 답이 이것일 것 같은데? 하면서 찍어도 정답이 잘 맞아떨어지는 과목중에 하나다
그래도 아무런 이론 공부 없이 그냥 문제만 풀다간 필기시험의 목전에 가서 문제를 풀어보면 점수가 들쑥날쑥해진다든가 하는 불상사를 막기 위해서는 꼭 암기하고 숙지해야만 하는 내용들이 있다
같이 한번 차근히 살펴보자
공부를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목차를 잘 보는 것인데, 일단 목차를 알고 공부하는 것과 모르고 공부하는 것은
하늘과 땅 차이라고 생각한다
시험공부를 한 번이라도 해봤다면 이 말이 이해가 갈 것인데 목차가 머릿속에 정리되어 문제에서 요구하는 이론이 어느 목차에 있는지 아는 것을 목표로 한다면 대부분의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스포츠사회학은 총 9개의 챕터로 구성되어있고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스포츠사회학의 이해
2. 스포츠와 정치
3. 스포츠와 경제
4. 스포츠와 교육
5. 스포츠와 미디어
6. 스포츠와 사회계급/계층
7. 스포츠의 사회화
8. 스포츠와 일탈
9. 미래사회의 스포츠
그러면 본격적으로 첫번째 챕터인 스포츠사회학의 이해부터 중요한 이론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다음의 내용은 유튜브에서 생활스포츠지도사2급을 검색하면 볼 수 있는 무료강의에서 참고를 하였고,
내가 필기시험을 합격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았다
생활스포츠지도사2급 스포츠사회학 - 1. 스포츠사회학의 이해
< 스포츠사회학의 주요이론 >
구조기능주의 이론 | 사회는 상호의존적으로 연결되어있고 각자의 기능을 수행하며 사회의 통합 및 존속에 기여함 (긍정적인 지문으로 잘 나온다) 단점 : 현상의 긍정적인 측면을 주로 주장하여 사회적 갈등의 의미를 간과함 |
갈등이론(칼 마르크스) | 사회현상의 여러 문제점들은 이익이나 권력과 같은 것에 대한 경쟁과 갈등으로 나타남(부정적인 지문으로 잘 나온다) 단점 : 현상의 부정적인 측면과 경제적인 부분만 강조함 - 부의 불평등 |
비판이론 | 사회현상을 보다 명확하게 규명하고 평가 및 비판하여 변화시키려 하는 이론 단점 : 이상적인 면만 강조하여 실제 생활환경의 영향을 반영하지 못함 - 이데올로기, 공론회장, 의사소통 |
상징적상호작용론 | 사회구조보다 행위자의 행동과 상황을 해석하고 의미를 이해하려는 이론 단점 : 사회구조와 같은 거시적인 문제를 다루려 하지 않음 - 개인을 연구 |
< 파슨즈의 AGIL 모형 >
적응 (Adaptation) | 스포츠에 참가하면서 현실에 대한 적합한 사고, 감정, 행동양식을 학습시켜 사회 구성원으로서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함 |
목표성취 (Goal attainment) | 스포츠를 통해 자신의 목표를 성취하는 과정에서 성공에는 노력이 따른다는 것과 보상을 받기 위해선 노력과 더불어 규정을 준수하는 정당함도 필요하다는 것을 배움 |
통함(Integration) | 스포츠를 직접하거나 또는 관람하면서 자신이 속한 팀, 지역, 나라 등에 대하여 소속과 일체감을 느끼고 통합을 이룰 수 있음 |
체재유지(Latent pattern maintenance) | 전체 사회의 규범과 가치를 개인에게 학습, 내면화 시키고 높은 성취감으로 생산성을 증대시켜 청소년으로 하여금 성인의 역할을 학습하고 생존할 수 있는 잠재력을 길러줌 |
스포츠사회학의 주요이론과, 파슨즈의 AGIL 모형은 자주나오는 내용이니 꼭 암기하고 숙지하도록 하자!
'생활스포츠지도사 2급 - 필기시험 독학으로 합격하기! > [스포츠 사회학] 빈출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스포츠지도사 2급 - 스포츠 사회학(8. 스포츠와 일탈, 9. 미래사회의 스포츠) (0) | 2023.05.23 |
---|---|
생활스포츠지도사 2급 - 스포츠 사회학(6. 스포츠와 사회계급/계층, 7. 스포츠와 사회화) (0) | 2023.05.23 |
생활스포츠지도사 2급 - 스포츠 사회학(4. 스포츠와 교육, 5. 스포츠와 미디어) (1) | 2023.05.22 |
생활스포츠지도사 2급 - 스포츠 사회학(2. 스포츠와 정치, 3. 스포츠와 경제) (0) | 2023.05.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