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스포츠지도사 2급 - 필기시험 독학으로 합격하기!/[스포츠 사회학] 빈출이론

생활스포츠지도사 2급 - 스포츠 사회학(6. 스포츠와 사회계급/계층, 7. 스포츠와 사회화)

by sps프레이어 2023. 5. 23.
반응형

 

생활스포츠지도사2급 스포츠사회학 - 6. 스포츠와 사회계급/계층

< 투민(M. Tumin)의 스포츠계층 형성 과정 >

매년 나오는 내용으로 이 부분은 꼭 암기하도록 하자

특히 지위분화와 서열화가 문제를 풀다 보면 애매하고 헷갈리기 때문에 정확하게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지위분화
(구성원이 각자 역할을 맡는 단계 -> A선수가 축구 프로 구단에 수비수로 입단함)
지위분화의 4가지 조건
- 지위의 명확한 구분
- 책임과 권한 부여
- 효과적 수행 가능
- 적절한 보상 체계
서열화
(개인의 특징에 따라 임무를 분화하는 단계 -> 능력을 인정받고 팀공헌도가 높아 주전으로 활동함)
지위의 서열화 기준
- 운동기능 및 능력
- 개인적 특성
- 사회적 역할
- 팀 공헌도
평가
(개인의 가치나 유용성에 대해 평가하는 단계 -> 경기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어 많은 인기를 얻음)
평가적 판단의 종류
- 권위 : 명예와 공경(감독이나 코치 등)
- 호감 : 특정 역할의 모델, 위광과 호감
- 인기 : 대중의 주목 정도
보수부여
(필요한 보수가 적절히 배분되는 단계 -> 많은 성과 보너스를 받고 다음 연봉이 크게 향상됨)
보수의 종류
- 상금이나 상품 등의 재화나 용역
- 팀 내 권한 또는 선수선발 및 기용 권한
- 타인으로 받는 인기나 명성

투민의 스포츠계층 관련 문제

< 기든스(A. Giddens)의 사회계층 이동 >
기든스의 사회계층 이동은 문제를 내기도 좋고 읽어보면 어렵지는 않은데, 막상 문제를 풀어보면 각 내용을 제대로 숙지하지 않으면 틀릴 수 있으니 잘 확인하도록 하자

방향 수직이동 후보에서 주전 선수로 발탁되는 것
수평이동 주전선수가 다른 팀 주전 선수로 이적하는 것
시간 세대 간 이동 운동선수가 부모보다 좋은 조건으로 성공하는 것
세대 내 이동 선수로 활동하다 감독으로 전환되는 것
이동주체 개인이동 개인의 능력과 노력에 따라 사회적으로 이동하는 것
집단이동 유사한 조건의 집단 전체가 사회적으로 이동하는 것

한번 풀어보시오..

 

 

생활스포츠지도사2급 스포츠사회학 - 7. 스포츠와 사회화

 

< 스포츠사회화 이론 >
스포츠사회화 이론은 일반인이 어떤 식으로 스포츠인이 되는 것에 대한 내용이다

매년 출제되는 내용이니 잘 숙지하여야 한다. 특히, 사회학습 부분을 잘 암기해 두자

사회학습
(개인적 특징, 주요 타자, 사회화 상황에 따라 사회화되며 3가지 방법이 있음)
강화 상과 벌을 통해 긍정적 행동은 증가시키고 부정적 행동은 감소시켜 사회적 역할의 습득과 수행에 도움을 줌
코칭 사회화 주관자(부모, 지도자)의 도움을 받아 스포츠 활동에 필요한 기술이나 대화 등을 직접 배우는 방법
관찰학습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기술을 관찰하고 습득하여 내면화하고 다음 적절한 시점에 이를 행동으로 나타내는 방법
역할이론
(사회라는 무대에서 개인은 끊임없이 스스로 경험하고 다른 구성원과 상호작용하면서 개인의 역할을 학습해 나가는 존재
준거집단
(인간은 자발적으로 어떤 집단이나 타인을 자신의 행동 기준에 대한 준거로 삼게 되는데 그런 집단을 크게 규범집단, 비교집단, 청중집단으로 나눌 수 있음)
규범집단 규범을 설정하고 가치관을 형성시키는 집단(가족)
비교집단 특정 역할 수행의 기술적 의미를 제시해주는 역할 모형 집단
청중집단 특별히 주목은 받지 않으나 그들의 가치에 맞게 행동하는 집단

사회화이론 관련 문제

< 사회화 과정 5단계 >

사회화 과정 5단계는 무조건 나온다고 생각하고 모든 내용을 숙지하여야 한다! 18년도부터 매년 나오고 있는 내용이다

개인 사회화 스포츠에 참여하게 되는 동기를 갖는 것
-> 개인적특성, 사회적상황, 사회적 주관자 등에 영향을 받는다
스포츠로의 사회화
(스포츠를 배우러감, 스포츠 참가)
스포츠 참여를 시작하고 지속하는 단계 -> 개입요소에 따라 개입정도와 형태결정
- 개입요소 : 내적만족(즐거움), 외적만족(보상), 사회적, 부정적, 정체감 
- 개입정도 : 시간(얼마나 할지), 노력(열심히 할지), 투자의 자발성(스스로 할지)
- 개입형태 : 행동적 참여,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스포츠를 통한 사회화
(참가의 결과)
스포츠 참가에 의한 결과나 성과를 얻는 단계
-> 개인의 가치나 태도 및 참가 정도 등에 영향을 미침
스포츠로부터의 탈사회화
(참가의 중단)
스포츠를 중도에 포기하거나 그만두는 단계
-> 운동 기량 부족, 실증, 부상, 불안감, 연령의 증가 등의 이유
스포츠로의 재사회화
(스포츠 복귀)
스포츠를 포기했던 개인이 새로운 스포츠 직업이나 환경을 갖는 것
-> 환경 변화, 취업, 정서, 역할 사회화, 인간관계 영향 등의 이유

사회화 과정 5단계 관련 문제

 

반응형

댓글